본문 바로가기

🍎 Swift80

[🍎 Swift 문법] Guard 구문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4. 5. 2.
[🍎 Swift 문법] enum 열거형 01. enum : 타입을 나누는 것(카테고리를 나눈다): 연관된 값을 그룹으로 묶어서 사용할 수 있다 enum School { case elementary case middle case high}→ 학교의 카테고리를 세분화 enum School { case elementray, middle, high}→ 이렇게 한줄로도 표현이 가능 enum School{ case elementary, middle, high}let yourSchool = School.high//방법1)print("yourSchool: \(yourSchool)")//방법2)print("yourSchool: ", yourSchool)💡코드의 의미: yourSchool이라는 상수의 안에 "high"라는 값을 담아서 출력함 .. 2024. 5. 1.
[🍎 Swift 문법] foreach 반복문 foreach 반복문var myArray : [Int] =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for item in myArray { print("item: \(item)")} 💡해당 코드의 의미myArray 배열에 담겨있는 요소를 item 이라는 변수에 담아서 처리하겠다는 의미→ 배열이 가지고 있는 요소의 수 만큼 알아서 반복을 돌려줌 ✔️결과item: 1item: 2item: 3***item: 10 조건이 들어간 foreach 반복문(where)  예제_1 var myArray : [Int] =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for item in myArray where item > 5 { print("5보다 큰수: \(item)")} 💡해당.. 2024. 5. 1.
[🍎 Swift 문법] 조건문 조건문의 여러가지 표현법  표현 1 var isDarkMode : Bool = falseif !isDarkMode { print("다크모드 아닙니다.")} else { print("다크모드 입니다.")} ✔️결과다크모드 입니다.    표현 2 var isDarkMode : Bool = falseif isDarkMode { print("다크모드 입니다.")} else { print("다크모드 아닙니다.")} ✔️결과다크모드 아닙니다.    표현 3 var isDarkMode : Bool = trueif isDarkMode == true{ print("다크모드 입니다.")} else { print("다크모드가 아닙니다.")} ✔️결과다크모드 입니다.    표현 4 var isDarkMode : B.. 2024. 4. 30.
메서드(메소드) - 조금 더 찾아보고 이해하기! 객체지향프로그래밍에서 클래스 내부에 정의되어 있는 클래스의 인스턴스와 관련된 동작을 정의함  인스턴스 메소드애플 공식 문서 내 인스턴스 메소드의 정의: 인스턴스 메서드는 특정 클래스, 구조 또는 열거형 인스턴스에 속하는 함수이다. 인스턴스 속성에 엑세스하고 수정하는 방법을 제공하거나 인스턴스의 용도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며 이러한 인스턴스의 기능을 지원한다. → 즉 인스턴스 메소드는 인스턴스를 생산한 후 해당 인스턴스가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음  타입 메소드애플 공식 문서 내 타입 메소드의 정의: 인스턴스 메소드와는 다르게 타입 자체에서 호출되는 메서드를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. 이러한 종류의 방법을 타입 메소드라고 합니다. → 즉, 인스턴트 생성 없이 타입 자체에서 호출 할 수 있는 메소드  https:.. 2024. 4. 26.
[🍎 Swift 문법] 자료형 1.  실수와 정수는 일부 호환이 가능   - 일반적으로 정수를 실수로 변환하여 연산을 처리함(값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음)   - 실수를 정수로 변환하려면 값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 2.  스위프트는 문자와 숫자를 바로 결합할 경우 오류로 처리한다   - 값의 종류가 일치해야만 그에 맞는 처리가 가능하다   - 변수나 상수에 할당되는 값은 모두 타입이 구분될 수 있어야 한다   - 한 타입별로 메모리 공간의 크기가 달라져야 한다 3. 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스위프트에서는 변수나 상수를 정의할 경우 반드시 숫자, 문자, 문자열, 논리(참/거짓)등 몇 가지 종류의 타입을 지정하고 맞추어 사용   → 이를 데이터 타입(Data Type) 즉 자료형이라 함 4.  변수와 상수는 일반적으로 처음 입력되는 값에 .. 2024. 4. 25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