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33

[👾 Programmers] 03. 몫 구하기 1. 문제 설명정수 num1, num2가 매개변수 주어집니다. num1과 num2를 곱한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 2. 제한사항* 0 ≤ num1 ≤ 100* 0 ≤ num2 ≤ 100 📝 문제import Foundationfunc solution(_ num1:Int, _ num2:Int) -> Int { return 0}  💻 내가 푼 방법(테스트 통과)import Foundationfunc solution(_ num1:Int, _ num2:Int) -> Int { return num1/num2} 🔎 의문점과 공부한 것1. 없졍 2024. 5. 10.
[🍎 Swift 문법] array & dictionary & set 01. array여러 데이터를 순서대로 담아 놓는 변수[]을 통해서 선언개별 아이템 접근 시 index 를 이용함- index는 0부터 시작- 순서에서 벗어난 index를 요청하면 크래시 발생let yoo = "유재석"let ji = "지석진"let ha = "하하"let so = "전소민"let song = "송지효"let kim = "김종국"let runningMans = [yoo, ji, ha, so, song, kim]// → ["유재석", "지석진", "하하", "전소민", "송지효", "김종국"]runningManss[0] // → 유재석runningManss[1] // → 지석진runningManss[5] // → 김종국runningManss[7] // → error  💡 비어있는 배열 초.. 2024. 5. 8.
[👾 Programmers] 02. 두수의 곱 1. 문제 설명정수 num1, num2가 매개변수 주어집니다. num1과 num2를 곱한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 2. 제한사항 * 0 ≤ num1 ≤ 100* 0 ≤ num2 ≤ 100 📝 문제import Foundationfunc solution(_ num1:Int, _ num2:Int) -> Int { return 0}  💻 내가 푼 방법(테스트 통과)import Foundationfunc solution(_ num1:Int, _ num2:Int) -> Int { return num1*num2} 🔎 의문점과 공부한 것1. 연산자 블로그에 정리하고 파악하기(이번주까지)2. 바로 계산할 수 있는데 var 이나 let 을 왜 거쳐가는지 상당히 궁금함... 2024. 5. 3.
[👾 Programmers] 01. 두 수의 차 문제 설명정수 num1과 num2가 주어질 때, num1에서 num2를 뺀 값을 return하도록 soltu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  제한사항-50000 ≤ num1 ≤ 50000-50000 ≤ num2 ≤ 50000 🚩 문제import Foundationfunc solution(_ num1:Int, _ num2:Int) -> Int { return 0}  💻 내가 푼 방법(테스트 통과)import Foundationfunc solution(_ num1:Int, _ num2:Int) -> Int { return num1-num2}  🔎 의문점과 공부한 것1. 문제 속 _ 의 의미가 궁금하다.→ '와일드카드 패턴' 의 식별 표기라고 한다.     for구문이나 switch구문에 자주 사.. 2024. 5. 2.
[🍎 Swift 문법] 와일드 카드 패턴 와일드 카드 패턴이란?: 사용되는 곳의 값을 무시(생략)한다.   예제 1      1-1) 일반적인 함수의 형태func todayMenu(menu: String){ print("오늘의 메뉴는 \(menu)입니다.")} → 호출 방식은 todayMenu(menu: "피자")  1-2) 와일드 카드 패턴을 적용했을 경우func todayMenu(_ menu: String) { print("오늘의 메뉴는 \(menu)입니다.")}→ 호출 방식은 todayMenu("피자") 💡파라미터 이름 명시하는 부분을 생략하여 호출 할 수 있다.  *파라미터 = 매개변수    예제 2     for _ in 0..💡와일드카드 식별자를 사용하면 해당 변수를 쓰지 않고 범위 지정자를 통해 지정해준 만큼 for 문이돈다. .. 2024. 5. 2.
[🍎 Swift 문법] Guard 구문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4. 5. 2.
[🍎 Swift 문법] enum 열거형 01. enum : 타입을 나누는 것(카테고리를 나눈다): 연관된 값을 그룹으로 묶어서 사용할 수 있다 enum School { case elementary case middle case high}→ 학교의 카테고리를 세분화 enum School { case elementray, middle, high}→ 이렇게 한줄로도 표현이 가능 enum School{ case elementary, middle, high}let yourSchool = School.high//방법1)print("yourSchool: \(yourSchool)")//방법2)print("yourSchool: ", yourSchool)💡코드의 의미: yourSchool이라는 상수의 안에 "high"라는 값을 담아서 출력함 .. 2024. 5. 1.
[🍎 Swift 문법] foreach 반복문 foreach 반복문var myArray : [Int] =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for item in myArray { print("item: \(item)")} 💡해당 코드의 의미myArray 배열에 담겨있는 요소를 item 이라는 변수에 담아서 처리하겠다는 의미→ 배열이 가지고 있는 요소의 수 만큼 알아서 반복을 돌려줌 ✔️결과item: 1item: 2item: 3***item: 10 조건이 들어간 foreach 반복문(where)  예제_1 var myArray : [Int] =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for item in myArray where item > 5 { print("5보다 큰수: \(item)")} 💡해당.. 2024. 5. 1.
[🍎 Swift 문법] 조건문 조건문의 여러가지 표현법  표현 1 var isDarkMode : Bool = falseif !isDarkMode { print("다크모드 아닙니다.")} else { print("다크모드 입니다.")} ✔️결과다크모드 입니다.    표현 2 var isDarkMode : Bool = falseif isDarkMode { print("다크모드 입니다.")} else { print("다크모드 아닙니다.")} ✔️결과다크모드 아닙니다.    표현 3 var isDarkMode : Bool = trueif isDarkMode == true{ print("다크모드 입니다.")} else { print("다크모드가 아닙니다.")} ✔️결과다크모드 입니다.    표현 4 var isDarkMode : B.. 2024. 4. 30.
메서드(메소드) - 조금 더 찾아보고 이해하기! 객체지향프로그래밍에서 클래스 내부에 정의되어 있는 클래스의 인스턴스와 관련된 동작을 정의함  인스턴스 메소드애플 공식 문서 내 인스턴스 메소드의 정의: 인스턴스 메서드는 특정 클래스, 구조 또는 열거형 인스턴스에 속하는 함수이다. 인스턴스 속성에 엑세스하고 수정하는 방법을 제공하거나 인스턴스의 용도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며 이러한 인스턴스의 기능을 지원한다. → 즉 인스턴스 메소드는 인스턴스를 생산한 후 해당 인스턴스가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음  타입 메소드애플 공식 문서 내 타입 메소드의 정의: 인스턴스 메소드와는 다르게 타입 자체에서 호출되는 메서드를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. 이러한 종류의 방법을 타입 메소드라고 합니다. → 즉, 인스턴트 생성 없이 타입 자체에서 호출 할 수 있는 메소드  https:.. 2024. 4. 26.